23일 중국 2위 부동산 개발 업체 헝다가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를 간신히 벗어났다. 하지만 공식 디폴트가 나지 않게 관리했을 뿐 시장의 평가는 헝다가 실제로는 디폴트에 더 다가섰다는 평가다.
헝다의 이런 행보 속에 중국 정부가 헝다의 부동산 사업 부문을 국유화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면서 중국 정부의 개입설이 점점 커지고 있다.
헝다 디폴트 위기
당초 23일 달러 채권 이자 8천350만 달러(약 993억 원)와 위안화 채권 이자 2억 3천200만 위안(약 425억 원)을 헝다가 지급해야 했다고 중국 매체는 보도했다.
전날 낸 공고에서 헝다는 위안화 채권 이자 2억 3천200만 위안의 지급 문제를 해결했다고 전했다.
이 해결이란 표현에 대한 해석이 여러 가지 나오고 있는데 헝다가 채권 보유 기관과 협상을 통해 이자 전체 또는 부분 지급 시한을 연장하는 등의 임시방편을 마련했을 것이라는 분석이 있다.
그리고 헝다는 달러 채권 이자 지급 여부를 구체적으로 공개하지 않았는데 채권 계약서상 예정일로부터 30일 이내까지는 이자 지급이 이뤄지지 않아도 공식 디폴트를 낸 것으로 간주하지는 않는 조항이 담긴 계약이라 헝다는 1차 고비였던 23일에 디폴트를 넘기며 1차 위기를 넘긴 것으로 보인다.
헝다의 대응
창업자인 쉬자인 회장과 4천여 명의 간부들은 헝다의 사업 정상화 방안을 논의했다고 한다.
회의에서 쉬자인 회장은 사업 정상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건설이 진행되고 있는 건물을 완공해 인도하는 것은 회사가 반드시 이행해야 할 고객에 대한 의무이자 회사가 짊어져야 할 사회적 책무다."
"전력을 다해 건설과 판매를 재개해야만 부동산 고객들의 권익을 보장하고 자사의 부동산 프로젝트와 관련한 금융 상품에 투자한 고객들에게 순조롭게 투자금을 상환할 수 있다."
고 강조했다.
일부 위안화 채권 이자 문제 해결과 최고 경영자의 경영 정상화 의지를 보여줌으로 사태 우려가 다소 진정되는 모습을 보였다고 시장은 분석했다.
헝다와 중국 정부
이런 모습에 홍콩 증시 헝다 주가는 17.18% 급등했지만 여전히 연고점 대비 80% 이상 폭락한 상태다.
또한 가까스로 고비를 넘기긴 헝다가 당국의 구제가 없다면 많은 협력업체들의 대금 지급 문제와 향후 350조 원의 대출을 갚지 못하고 디폴트를 낼 거라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는 모습이다.
헝다는 다른 달러 채권의 이자 4천750만 달러를 오는 29일에 지급해야 한다.
중국 당국이 아직 헝다 사태에 구체적인 입장 표명을 하지 않는 중 일부 외신은 헝다의 부동산 사업 부분을 떼어 국유기업으로 만들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당국이 헝다를 3개 법인으로 나누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핵심인 부동산 개발 부문이 국유기업으로 전환될 것이라는 내용이 담겨있다.
헝다의 부동산을 구입한 중국의 일반 투자자 보호와 헝다의 파산으로 인해 발생할 중국 경제 충격을 막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댓글